본문 바로가기

대전(연구시설, 핵재처리 등)

대전시민안전검증단, 원자력연구원 검증 할동

하나로핵반응로·방사성폐기물·사용후핵연료 등 분야별 안전검증 진행 중

 

대전원자력시설 안전성 시민검증단(이하 시민검증단)이 본격적인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대전시가 지난 3월 27일 주민대표, 시민사회,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27명의 위원을 위촉한 이후, 6월 초까지 총 6차의 위원회가 열렸다. 시민검증단의 검증 대상은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총 6개의 검증분야를 선정하였는데,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①하나로핵반응로(=연구용 원자로) 내진보강공사 ②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무단 처리 ③사용후핵연료와 파이로프로세싱 등 3개 분야를 우선 검증하기로 하였다. 시민검증단 위원들은 3개 분과로 나뉘어 들어가 안전검증을 위한 질의서를 작성하고 관련 자료를 한국원자력연구원 측에 요청하여 분석하고 있다.

 

지난 5월 31일(수)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제5차 시민검증단 회의가 있었다.  당일 회의에서는

질의응답과 자료 브리핑, 현장 방문 등의 활동이 있었다.

 

지난 5월 31일(수)에 열린 제5차 위원회에서 위원들은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직접 들어가 질의에 대한 답변을 듣고 미리 요청한 자료를 받았다. 이 자리에 동석한 하재주 원장(한국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안전위원회 특별조사로 밝혀진 위법 사실에 대하여 허리 숙여 사과하였다. 하재주 원장은 “솔직하고 진정성 있게 시민검증단에 협조하겠다”며, “시민검증단이 안전성을 검증하는데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한국원자력연구원 측은 3개 분과에서 받은 질의에 대하여 차례로 브리핑하였고, 내용이 미진하거나 방향을 잘못 잡은 답변에 대해서는 위원들의 날선 질타가 이어졌다. 특히 작금의 ‘한국원자력연구원 사태’를 일으킨 방사성폐기물 무단 방출건과 관련하여, 여러 위원들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철저히 해야 할 원인 규명은 불분명하게 하고, 재발방지대책만 장황하게 늘어놓는다”며 꼬집었다.


지난 2004년부터 하나로핵반응로에서 중수 누출, 백색비상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지만 대전시는 이렇다 할 안전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다 지난해 고준위핵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가 26년간 1,699봉이 대전으로 반입된 사실이 공론화되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폐기물 무단 처리 사태가 빚어진데다, 실제 사용후핵연료를 사용하는 핵재처리실험 예고 등으로 유성구 주민의 반발과 대전시민의 불안이 크게 증폭되었다. 이에 대전시는 2017년을 ‘원자력 안전 격상의 해’로 정하여 원자력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시민검증단을 출범시켰다.


지난 4월 28일, 의원 발의로 제정된 ‘대전시 원자력안전 조례’가 시행되면서 시민검증단 활동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 지난 5월 22일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지자체와 핵시설 간의 원자력안전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의 주체는 대전시와 유성구 그리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이며, 방사성폐기물 보관현황, 환경방사선 측정값, 방사성폐기물 이송에 대하여 지자체에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후핵연료를 이용한 새로운 실험에 대하여서는 시·구와 협의할 것을 의무화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탈핵신문 2017년 6월호 (제53호)

박현주 통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