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나는 방사능 건강피해, 소아갑상선 암환자 100명 넘어…
오하라 츠나키 편집위원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로 인한 어린이들의 갑상선 영향을 조사하고 있는 후쿠시마현민(県民) 건강조사검토위원회(이하 검토위원회)는 지난 8월 24일, 103명의 갑상선암 및 의심판정이 내려졌다고 발표했다.
이 검사는 사고 당시 18세 미만이던 후쿠시마현민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부터 실시되고 있다. 조사 결과는 순차적으로 공개되었는데, 현재까지 갑상선암 및 의심판정 수는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16회 검토위원회 발표로 드디어 100명을 돌파했다. 보통 소아갑상선 암 발생률은 100만명 중 2~3명으로 알려져 있다. 검사를 받은 후쿠시마현민 약 29만 명 중 103명이 갑상선암 및 의심판정을 받았다는 사실은, 평균 발생률의 120~180배에 해당한다. 더 이상 핵발전소 사고와의 연관성을 부정하기 힘든 상황임에도, 검토위원회는 “사고로 인한 피폭 영향으로 생각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후쿠시마 사고 후, 유일하게 후쿠시마현 차원에서 진행된 건강조사
후쿠시마현에서 갑상선암을 조사하고 있는 현민 건강조사는, 핵발전소 사고로 인한 주민의 피폭과 건강영향을 일괄적으로 조사하는 유일한 것이다. 당초 정부 주도의 조사가 검토되었지만, 최종적으로 후쿠시마현이 후쿠시마현립의과대학에 위탁해 후쿠시마현 차원에서 실시하는 형태가 되었다.
조사는 크게 기본조사와 상세조사로 나눌 수 있다. 기본조사는 약 200만 명의 후쿠시마 전 현민을 대상으로, 사고 후 4개월 동안의 행동기록을 기입하는 문진표를 통해 개인의 외부 피폭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극히 원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는 이 조사에는 현민들의 신뢰도가 낮고 문진표 회수율도 불과 26.4%에 머물고 있다(2014년 6월 30일 현재). 상세조사는 ①갑상선 검사 ②혈액검사를 비롯한 건강진단 ③정신 건강도 조사 ④임산부 대상 조사로 나누어져 있다.
후쿠시마 현민 건강 조사 | ||
기본조사 |
문진표 |
사고 후 4개월 동안 개인행동에 대한 문진표로, 외부피폭 선량 파악. 후쿠시마 전 현민 약 200만명 대상. 26.4% 낮은 회수율 |
상세조사 |
갑상선 조사 |
사고 당시 18세 미만의 전 현민 대상. 대상자는 약 30만 명 |
건강진단 |
혈액 검사 등 건강진단. 대상자는 국가가 지정한 피난구역 주민 또는 검사 필요성이 인정된 자 | |
정신건강 및 생활습관에 관한 조사 |
몸과 정신건강에 대한 조사. 대상자는 국가가 지정한 피난구역 주민 또는 검사 필요성이 인정된 자 | |
임산부 대상 조사 |
임산부의 건강상태 파악 및 건강관리 목적 |
다양한 질병을 고려하지 않고 갑상선 암에만 초점을 맞춘 조사
그 중 유난히 갑상선암에 초점을 맞춰 조사가 이뤄져 왔는데, 그 이유가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 국제기관은 저선량 피폭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오랫동안 인정하지 않았다. 1986년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 이후, 어린이들의 갑상선암이 급증해 그 수는 6000명을 넘었다. 늘어나는 환자 수를 무시 못해 1996년 갑상선암을 피폭으로 인한 유일한 질병으로 마지못해 인정한 셈이다.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등지에서 체르노빌 사고 영향을 조사해온 의사와 연구자들은 암과 백혈병과 같은 질병뿐만 아니라 면역력 저하로 인한 다양한 질병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저선량 피폭과 이러한 질병들의 인과관계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 현민 건강조사도 이러한 견해에 따라 갑상선암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게 된 것이다.
갑상선 암 환자 100명 넘는데도, 일본정부는 인과관계 인정하지 않아…
최근 발표된 갑상선 암 환자 수 103명이라는 결과에도 불구하고 조사 당국은 여전히 핵발전소 사고 연관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로 체르노빌의 경우 어린이 갑상선 이상 환자가 사고 4~5년 이후에 증가했다는 통계를 인용한다. 현 시점에서 갑상선 암 증가는 검사를 너무 정밀히 해서 발견률이 높다는 소위, ‘스크리닝 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100밀리시버트(mSv) 안전론’을 꺼낸다. 후쿠시마현에서 100밀리시버트를 넘게 피폭당한 사람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고 연관성이 없다는 주장이다.
츠다토시히대(津田敏秀) 교수(오카야마대학 대학원 환경생명과학 연구과)는 이 ‘100밀리 시버트 안전론’을 ICRP(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가 발표한 내용을 일본이 잘못 해석해서 만든 거짓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100밀리 시버트 안전론’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암 발생에는 역치값(반응을 일으키는 최소값)이 없다’는 세계적 통념을 무시한 것이다.
방사선량으로 인한 각 지역별 차이도 부정
이번 16번째 검토위원회 조사결과는 후쿠시마현내 갑상선 이상 발생률에 대한 지역별 통계를 포함하고 있다. 10만명 당 후쿠시마현내 소아갑상성암 발생률을 나타낸 것이다. 핵발전소 주변 13개 지자체, 나카도오리(中通り), 하마도오리(浜通り), 그리고 아이즈(会津) 네 지역으로 나눠져 있다. 2차 정밀검사가 모두 끝나지 않은 아이즈 지역을 빼면, 거의 모든 곳의 지역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갑상선암 발생이 핵발전소 사고로 인한 방사능 피폭과 관계가 없다는 후쿠시마현의 견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의도된 통계다.
이 발표에 대해 정확성을 의심하는 이론(異論)의 목소리가 크다. 예를 들어, 종래 행정구분을 기초로 대략적으로 4개로 나눈 것이어서, 실제 방사선량을 토대로 세분화되어 있지 않는 등 통계 방법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국가 주도의 광범위한 조사가 시급하다!
후쿠시마현민 건강조사는 어떻게든 사고로 인한 건강피해 영향을 적게 보이기 위해 안간 힘을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진실을 언제까지 감출 수 있을 것인가?
조사 시작 이래 갑상선 이상 환자 발견수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검사 대상자 확대도 검토해야 한다. 현재 사고 이전 18세 미만으로 되어 있는 대상자를 19세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 그리고 갑상선암 외의 다른 암이나 질병에 대해서도 조사와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방사능 피해는 결코 행정구역으로 단순하게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후쿠시마현 인접 지역에서도 집중적으로 선량이 높은 ‘핫스팟’지역이 많다. 이 지역 주민들에게도 건강조사와 보호가 시급하다. 사고가 발생한지 3년이나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건강 대책이 국가 주도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안타깝다. 정부의 더욱 책임 있는 태도가 절실하다.
발행일 : 2014.10.2
'일본, 후쿠시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핵발전소 피폭노동의 현실 - 인터뷰 _ 나스비(‘피폭노동을 생각하는 네트워크’ 활동가) (0) | 2014.10.08 |
---|---|
핵발전소 지역출신. 핵발전소 부정 못하는 복잡한 심정 (0) | 2014.10.08 |
일본 무책임체제 유지한 채, 핵발전소 재가동_센다이핵발전소 (0) | 2014.08.07 |
20밀리시버트 이하는 해제’란 핵발전소 안이나 마찬가지야! (0) | 2014.08.07 |
후쿠시마 사고, 피해주민들에 대한 도쿄전력의 배상은? (0) | 2014.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