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전(연구시설, 핵재처리 등)

30년간 대전 주택가 하천으로 흘러든 방사성물질


원자력연구원 설계와 다른 배수관 설치

방사성물질 오염수 1만5천리터 유출 



대전 도심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방사성 물질인 세슘 오염수가 매년 4백여 리터(), 30년 동안 모두 15 리터가 하천으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원자력연구원이 애초 승인받은 설계와 다르게 설치한 배관을 통해 세슘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간 것이다.



△ 방사성물질이 흘러든 관평천은 대전 시내 주택가를 가로질러 흐르고, 이 물줄기는 금강으로 흘러든다. ⓒ탈핵신문


△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인근 하천으로 방사성물질이 유출됐다. (사진=KBS1 뉴스화면 캡쳐)



지난해 12월 말, 한국원자력연구원 주변 하천 토양에서 인공 방사성물질 세슘이 평상시의 60배 넘게 검출됐다.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원인을 조사한 결과, 방사성물질은 원자력연구원 내부의 폐기물 자연증발시설에서 흘러나온 것을 확인했다.


원자력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폐기물 자연증발시설 설치를 허가받았다. 원안위가 32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승인 당시 자연증발시설은 극저준위 액체 방사성폐기물을 지하 저장조(86)에 이송받아, 이를 끌어 올려 3층의 공급 탱크에서 2층에 길게 늘어뜨린 증발천에 흘려보내 태양광에 의해 자연증발 시키고, 남은 방폐물은 다시 지하 저장조로 보내는 폐순환 구조로 설계한 것이다.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과 원자력안전위원회가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물질 누출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사진=KBS1 뉴스화면 캡쳐)



하지만, 이번 원안위 조사에서 인허가 당시 설계에 없는 배관이 확인됐다. 지하에 외부배관으로 연결된 배수 탱크(600)가 설치되었으며, 1층의 일부 배수구가 바닥 배수 탱크로 연결된 상태로 19908월부터 사용된 것이다.


원안위는 CCTV 영상과 재현실험 등을 통해 방출량을 조사한 결과, '19.9.26일 필터 교체 후 밸브를 과도하게 개방한 상태에서 2층 집수로 넘침이 발생했고, 그 과정에 약 510의 액체 방폐물이 외부로 누출된 것으로 밝혔다. 또 매년 11월경 동절기 동파방지를 위해 시설 운영을 중단하고 모든 액체 방폐물을 지하 저장조로 회수하는 과정에도 필터 하단 배수구로 일부 방폐물(연간 470~480)이 바닥 배수 탱크로 유입되어 외부로 누출되었음을 확인했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각각 측정한 방사선환경조사 기록을 검토한 결과, “하천수에서는 방사성물질이 최소검출농도 미만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방사성물질이 대전 시내 주택가를 관통하는 관평천으로 흘러들었음을 알게 된 시민들의 항의와 불안감은 크다.


△ 한국원자력연구원 인근 하천에서 방사성물질 세슘이 검출됐다. (사진=KBS1 뉴스화면 캡쳐)


이에 대해 원자력연구원 박원석 원장 등 임직원들은 20일 오전 11시 원자력연구원 앞에서 시민들에게 염려를 끼쳐 미안하다며 사과하고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환경방사능 분석을 강화하기 위해 주 1회 하천토양을 분석하고 채취지점을 추가하는 한편, 토양 깊이별로 방사능을 분석해 향후 좀 더 정밀한 환경방사능 분석을 실시하겠다고 했다. 연구원과 지자체,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원자력안전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원자력시설 시민안전소통센터를 설립해 시민이 원자력시설을 직접 검증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전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대전핵재처리30km연대는 원자력연구원 임원들이 사과하는 옆에서 피켓을 들고 항의했으며, 원자력연구원 폐쇄와 박원석 연구원장 사퇴를 촉구했다.


전국 연대단체인 탈핵시민행동도 20일 성명을 내고 책임자 엄벌과 원자력연구원 해체를 촉구했다. 이들은 이번 사고는 주택가 한가운데서 일어난 사고라며, 책임자 처벌이 필요함에도 원안위 발표에는 이 내용이 담기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용석록 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