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핵평화, 해외

<6호> 인도 쿠단쿨람 핵발전소 가동 강행에 맞선 주민들의 저항

인도 쿠단쿨람 핵발전소 가동 강행에 맞선 주민들의 저항

윤종호 (탈핵신문 편집국장) 


지난해 99일 인도의 최남단 이딘타카라이 지역의 해안에, 인근 주민 수천 명이 아침부터 운집했다. 주민들은 이날 정부에 의해 강행되는 쿠단쿨람 핵발전소 가동에 반대하는 시위행진에 참가할 예정이었다. 인파는 곧 수천에서 3만 명으로 늘어나 핵발전소로 행진하기 시작했다. 시위 행렬은 핵발전소에서 800미터 떨어진 곳에서 경찰 병력과 대치한 채 해변에서 집회는 계속됐다.

집회의 평화는 오래 못 갔다. 다음날 기동타격대를 동원한 경찰은 최루탄을 퍼붓고 곤봉을 휘두르며 수천 명을 강제로 해산시켰다. 이 과정에서 다수가 부상을 입었고, 주민 수백 명이 연행됐다. 경찰의 폭력적 진압 과정은 외신과 인터넷을 통해 세계로 보도됐다.

경찰의 강경 대응은 결국 참사를 불렀다. 사건이 일어난 것은 쿠단쿨람 핵발전소에 장착될 우라늄 연료의 수송을 막으려는 주민들이 철로를 점거하고 나선 911. 시위 참가자를 향해 경찰이 발포하면서 여러 명이 다치거나 연행되고, 주민 한 명이 숨졌다.

러시아의 주도로 인도 최남단에 1000메가와트 규모의 원자로 두 기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이 처음 나온 1980년대 후반 이후, 쿠단쿨람 핵발전소 반대 운동은 최근까지 계속 이어졌다. 이 계획은 소비에트 연방이 무너지면서 보류됐다가, 1997년에 다시 고개를 들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재앙에도 인도 정부와 핵산업계는 주민들의 우려를 무시해왔다. 7월 쿠단쿨람 핵발전소 제1호기에서 시험 가동이 실시돼, 불안을 더욱 증폭시켰다. 다음 달 인근 주민들은 거리 시위와 단식 농성을 벌이며 쿠단쿨람 핵발전소 가동 중단을 요구했다. 쿠단쿨람 핵발전소 반경 30킬로미터 내에는 15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해, 만약 대형 사고가 나면 대피가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란 우려가 일찍부터 제기되었다.

인도반핵민중행동을 비롯한 쿠단쿨람 핵발전소 반대 단체들은, 해양 자원의 피해 등을 우려하며 절박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인도 해안선을 따라 핵발전소가 들어서면, 방사능 오염으로 내륙과 해양 생태계가 위기에 처해 식량 자급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미 유아의 42%가 영양결핍 상태인 인도에서, 저렴하고 영양이 풍부한 수산물이 방사능으로 인해 줄어들면 일부 관료나 부유층만이 건강권을 보장받을 것이란 비판이다.

핵발전소 계획에 관한 정보 공개 요구도 강하다. 환경영향평가서, 안전성분석보고서, 비상대응계획, 피해보상체계 등 주요 자료가 공개돼야 한다는 것이다. 인도 정부와 원자력공사가 정보 공개를 계속 회피하면서 결국 핵발전소 확대 정책이, 전력 수요가 아닌 핵무기 생산을 위한 수단이라는 의혹은 수그러들지 않을 것 같다.

 

사진 설명=쿠단쿨람 핵발전소를 반대하는 단식농성이 진행되던 지난해 515, 인도 첸나이 지역에서 수십 명의 여성들이 핵발전소로 우라늄 연료가 수송되는 것을 막기 위해, 철로 위에 드러누워 있다. 사진=IANS

 

발행일 : 201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