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후쿠시마

[준비3호] 후쿠시마 원자로 현황과 핵사고 현황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원자로 현황



 

1호기

2호기

3호기

4호기

파괴 정도 및 현황

 

수소폭발

노심 용융. 녹아 떨어진 연료가 건물 바닥을 뚫고 지하로?

원자로건물 바닥에 오염수 고여 있음

오염된 냉각수 새고 있음

사고 시 정기점검으로 원자로 연료 없었음

3호기에서 흘러온 수소로 폭발 일어나 원자로 건물 크게 파손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에 가장 많은 연료 저장되어 있고, 붕괴될 가능성 제기됨

방사성물질 방출량 측정 못 하고 있음

원자로 건물 크게 파손

대기 방출을 막기 위해 덮개 설치(1021)

압력억제수조 파손

2월 압력용기 바닥 온도 상승, 결국 온도계 고장으로 처리됨

원자로 건물 가장 크게 파손

핵폭주가 일어났을 가능성 제기됨

우라늄과 플루토늄의 혼합(MOX, 독성이 강함)연료 사용

원자로는 순환식 주수냉각 장치로 냉각 중

연료저장수조는 공냉식 냉각장치로 냉각 중

폐로계획

정부와 도쿄전력 1~4호기 폐기조치 등을 위한 중장기 공정표(2011. 12. 21 발표)’에서 40년 후까지 폐로작업을 마치겠다고 주장

고농도로 오염된 건물과 물 등으로 접근조차 함부로 할 수 없는 현실. 정부와 도쿄전력은 60여년의 핵개발 역사에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녹아떨어진 핵연료를 어떻게 꺼낼지’, ‘방사능 폐기물 처리방법등에 대해 이제 연구를 시작하겠다고 함. 그러나 단지, 희망사항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음




 

  

                        



후쿠시마 핵사고 오염 및 피해 현황


환율 1=14원 반영 시

암환자 수

향후 10년간 100km 이내 10만명 이상, 100~200km권내 12만명 이상, 향후 50년간 200km권내 40만명 이상(2011. 3. 30. 유럽방사선리스크위원회 예측)

 

피해면적

경계구역(20km권내, 허가 없이 출입금지)

624(서울시 면적은 605)

서울시의 약 2.6

계획적 피난구역(계획적으로 피난이 필요한 지역)

472

긴급시 피난준비구역(작년 930일 해제)

498

피난규모

후쿠시마 현내 피난

97,433

일본정부 부흥청 발표(2012. 2. 29)

20km권내 약 78천명, 30km권내 약 141천명, 계획적 피난구역 대상인구 약 1만명(일본 내각부 원자력희생자생활지원팀 추계)

후쿠시마 현외 피난

62,610

후쿠시마현 발표(2012. 3. 6)

피해액(추정)

일본 정부 1년 예산, 100조엔

일본정부도쿄전력

55045억 엔(사고 후 2년간)

77조 원

일본 내각부가 구성한 도쿄전력에 관한 경영 및 재무 조사위원회발표(2011. 10. 3)

내역 : 후쿠시마제1핵발전소 1~4호기 폐로비용(9643억엔), 손해배상액 중 일과성 손해분(26184), 매년 발생할 손해(첫해 10246, 2년째 8972). 3년 이후 및 제염비용 미반영

일본경제연구센터

6~20조 엔

84~280조원

쓰리마일(미국, 1979년 사고) 기준으로 계산 시 6조엔, 체르노빌(구 소련, 1986) 기준으로 계산 시 20조엔

내역 : 경계구역(20km) 토지매수비용 4.3조엔, 경계구역 피난민 소득보상 0.63조엔, 폐로비용 0.74~15조엔

원자력자료정보실

48조엔

672조원

일본경제연구센터 20+ 연간 1밀리시버트(mSv) 이상 오염지역 제염비용

일본 환경성이 1밀리시버트 이상 오염된 지역도 제염하겠다는 입장을 밝힘(2011. 10. 10). 이이타테무라 제염계획서에 의하면, 제염 및 방사성폐기물 관리 비용은 총 3224억엔. 이이타테무라 면적이 약 230. 한편, 1밀리시버트() 이상 오염된 지역 예측 총면적 2. 따라서 추가 제염비용 (3224/230)×20,000=28조엔.

이외에도 건강영향에 대한 보상, 의료보험 지출 증가, 행정적 대응에 관련 증가 비용, 피난지역의 경제적 손해, 소비자가 후쿠시마산 농수산물을 회피함에 따른 손해 등은 미반영. 폐로비용 등은 산정된 비용보다 추가될 것으로 예상

1=10000

방사능 오염

대기

48경 베크렐(Bq)

(정부기관) 원자력안전보안원 발표( 2012. 2.1)

2011311일 사고 후 316일까지(5일간)의 방사성물질 추정 방출량. 이 수치는 37경 베크렐(4), 77경 베크렐(6), 48경 베크렐(20122)로 수치가 바뀌고 있음

하지만 2011317일 이후에도 날마다 방사성물질이 방출되고 있음. 1~3호기의 경우 126000만 베크렐(시간당), 201217000만 베크렐(시간당), 21000만 베크렐(시간당).

해양

4700조 베크렐

도쿄전력

41일부터 6일까지(6일간)의 추정 방출량

15000조 베크렐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

321일부터 430일까지의 추정 방출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