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에 기타 방사성 핵종 제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 현장에 계속 늘어나는 삼중수소 오염수 처리 방법을 둘러싸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삼중수소를 제외한 다른 방사성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하지만 삼중수소 스트론튬90 등 다양한 방사성 핵종이 한도를 넘어서 잔류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일본 언론 보도를 보면 사고 7년이 지난 시점에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가 보관하고 있는 삼중수소 오염수는 약 90만 톤이다. 이 오염수는 사고 현장 부지 내에 설치한 약 880개의 드럼통에 보관돼 있다. 오염수는 향후 2년 동안 약 130만 톤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일본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방사능 오염수를 저장 탱크 / 사진 출처 : SBS 뉴스 화면
일본 경제산업성 유식자회의는 지난 8월 말 후쿠시마 현내 2곳과 도쿄 도내 1곳에서 삼중수소 오염수 처리방법 모색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공청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정부와 도쿄전력이 밀어붙이려는 해양방출 방식에 대한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공청회에서 정부 관계자는 탱크 내구성 문제, 보관 부지 부족 등 문제 해결의 긴급성을 호소했다. 삼중수소 오염수가 늘어나는 이유는 사고로 녹아내린 용융연료를 냉각하기 위해 주입한 대량의 물이 원자로 건물 내에 고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 곳에 지하수가 유입돼 오염수의 양을 늘린다. 지하수 유입을 막기 위해 지하수 바이패스, 동토차수벽 등 대책을 강구했지만 현재도 지하수 유입은 계속되고 있다. 용융연료 냉각을 위한 물 주입 또한 멈출 수 없어 현재 하루 오염수 발생량은 대책 전의 1/4인 약 110톤이다.
오염수에는 삼중수소 외에도 세슘137, 스트론튬90, 요오드131 등 다양한 방사선 핵종이 존재한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을 분리·제거해 ‘검출 불가능’ 내지는 ‘기준치 이하’까지 처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물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삼중수소는 이러한 절차를 통해서도 제거가 불가능하다. 결국 이는 ‘삼중수소 오염수’라고 부르며 탱크에 보관해 왔다.
일본 정부는 경제산업성 ‘오염수 처리 대책위원회’ 아래 ‘삼중수소수 테스크포스’를 설치하는 등 대책 및 처리 방법을 모색해 왔다. 이번 공청회에서도 그 동안의 검토를 통해 나온 5개의 안(해양방출, 지층주입, 지하매설, 수증기 방출, 수소방출)을 소개했다. 하지만 정부 및 도쿄전력의 본심은 예나 지금이나 해양방출이다. 현재 1리터 당 420만 베크렐의 삼중수소 오염수를 법령 폐출기준인 1리터 당 6만 베크렐 이하까지 희석해 바다에 내보내겠다는 것이다. 처분 기간은 4~7년, 비용은 17~34억 엔으로 책정하고 있다. 정부 및 도쿄전력 등은 해양방출을 제일 ‘효율적이고 값싼 처리 방식’이라고 유력시하지만 심각한 해양오염을 우려하는 어민들을 비롯해 시민들의 반발은 크다.
공청회 분위기를 한층 더 뜨겁게 하는 사실이 공청회 개최 약 1주일 전에 밝혀졌다. 가호쿠신보 등 언론 각사가 삼중수소 오염수에 기타 방사성 핵종이 제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정부 관계기관과 도쿄전력이 그 동안 내놓은 오염수 조사 자료를 꼼꼼히 분석했더니 지금까지 설명과 다르게 삼중수소 오염수에는 요오드129, 루테늄106, 스트론튬90 등 다양한 방사성 핵종이 한도를 넘어서 잔류한다는 것이다. 이 소식에 그 동안 해양방출에 반대해온 어민들을 물론, 마지못해 수용하려고 했던 일부 사람들까지도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궁지에 몰린 정부 측 책임자는 공청회 종료 후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오염수 정화 작업 재실시’와 ‘탱크 저장 연장’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늘어나는 오염수에 대한 대안으로 기술자로서 오랫동안 핵발전소 위험성을 지적해온 고토마사시 씨를 비롯해 다수가 ‘석유비축용 대형 탱크에 넣어 100년 이상 보관’을 주장한다. ‘원자력시민위원회’는 지난 6월 성명서를 통해 “국가 석유비축기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10만 톤급 대형 탱크를 10기 건설해 123년 동안 보관하면 삼중수소 반감기는 12.3년으로 탱크 내 삼중수소 총량이 현재의 1/1000로 확실히 감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술가 마키타 히로시(공학박사)는 만에 하나 최후의 선택으로 해양방출을 하게 되더라도 정부와 도쿄전력이 주장대로 4~7년이라는 단기간에 작업을 완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고 전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삼중수소 방출관리 목표치인 22조 베크렐을 준수한다면 단순계산으로도 60년, 짧게 계산해도 25~30년은 필요하다”며, 정부와 도쿄전력의 안일한 자세를 강하게 비판했다.
오하라 츠나키 편집위원
탈핵신문 2018년 12월호(복간준비호)
'일본, 후쿠시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잇따른 핵발전소 해외건설 백지화 (0) | 2018.12.25 |
---|---|
일본, 고준위 건식저장 확대를 위한 신 기준 마련키로 (0) | 2018.12.25 |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부터 7년, 현재 일본 오염과 피해 상황 등에 대해… (0) | 2018.04.16 |
후쿠시마 피난자 소송, 도쿄전력과 일본 정부 책임 인정…배상금 지불 판결 잇따라 (0) | 2018.04.16 |
방사성 물질 ‘세슘볼’, 그 실태는? (0) | 2018.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