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울산(고리,신고리관련)

울산시민 뇨시료에서도 삼중수소가!

경주의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2015년 월성 핵발전소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주민들을 월성핵발전소로부터 거리에 따라 구별하여 뇨시료를 대상으로 삼중수소(트리튬) 검출량을 조사한 바가 있다. 결과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100% 삼중수소가 검출되었다. 월성핵발전소의 행정적 경계구역은 경주이나, 울산 북구지역(북구청 17km)이 경주시내(26km)보다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주변 환경에 대한 오염 조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올해 2월 울산시 강동에서 화봉동까지의 북구 주민들과 울산시 울주군 언양, 두서 등 원거리 주민들을 거리별, 나이별로 구분하여 리민간환경감시기구에 의뢰해 총 15명의 뇨시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울산시 북구 12명 샘플의 66.7%8명의뇨시료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되었는데, 검출량은 4.35Bq/L~0.84Bq/L이며, 평균 검출량은 2.13Bq/L였다. 이는 2015년 경주시내의 검출률인 18.4% 보다 월등히 높은 검출률을 보임으로써, 핵의 위험도를 단순히 행정구역으로 구분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반면 월성핵발전소에서 28km이상 떨어진 울주군 언양읍 반천리와 두서면 전읍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삼중수소는 중수로 핵발전소인 월성핵발전소가 갖는 필연적인 부산물이다. 한수원의 자료를 보면, 월성핵발전소가 지난 10년간 방출한 삼중수소 양은 기체와 액체를 합쳐 연평균 350조Bq이다. 세슘이나 요오드보다 엄청나게 많은 방출량이다.

 

이 삼중수소가 위험한 것은 호흡이나 음식을 통해 체내로 들어왔을 때이다. 체내에서 핵분열을 일으키며 베타선을 끊임없이 방출, 헬륨으로 핵종 전환돼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유전자 같은 인체 내부의 여러 물질들의 구조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슘이나 요오드보다 에너지 세기가 작은 게 불행 중 다행이지만, 북풍 등의 바람 길을 타고 울산시 북구로 끊임없이 흘러들어올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실제 현실이 되어 우리 앞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삼중수소의 반감기는 12.4년이며, 인체에 흡수되었을 때 소멸되는 생물학적 유효반감기는 12일이고 절반이 소변이나 땀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심각한 문제는, 삼중수소 방사능으로 인한 피폭이 일회성이 아니고 월성핵발전소에서 끊임없이 다량으로 삼중수소를 뿜어내고 있기 때문에 주민들이 방사능에 만성적으로 노출돼 있다는 것이다.

 

한수원에서는 올해 2월에 원전주변주민 삼중수소 인체평가 연구기획을 하여 핵발전소 주변 주민과 대조지역 주민에 대한 삼중수소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울산을 대조지역으로 넣어 시료의 수와 범위가 작고 좁을 우려가 높아 분석과정의 자의성에 따른 왜곡된 결과를 낳을 수가 있다. 한수원은 경주시내보다 더 가까운 울산지역을 대조지역이 아닌 핵발전소 주변 주민으로 포함시켜 조사를 전면화해야 할 것이다.



 

울산시민 뇨시료 삼중수소 검사결과 (채취일, 225) (거리순)

이름

시료량(ml)

보고값

(Bql/L)

주소

거리(km)

나이

A

8

4.35

북구대안로 78

7.9

84

B

8

2.14

북구대안222

7.9

82

C

8

3.14

북구신명291

8.1

92

D

8

2.63

북구신명길 103

8.1

89

E

8

<MDA

북구 산하로 43 푸르지오

8.9

34

F

8

<MDA

북구 산하로 43 푸르지오

8.9

34

G

8

1.32

북구 산하로 43 푸르지오

8.9

4

H

8

<MDA

북구 정자동

8.9

69

I

8

1.36

북구무룡동

12.2

68

J

8

<MDA

북구무룡동

12.2

66

K

8

1.26

북구호계동

16.3

47

L

8

0.84

북구화봉동

16.9

55

M

8

<MDA

두서면 전읍리

28

54

N

8

<MDA

언양읍 반천현대

30.1

20

O

8

<MDA

언양읍 반천현대

30.1

22

북구 평균 검출

2.13

 

 

 

북구 검출률

66.7%

 

 

 

* MDA(Minimum Detectable Activity) : 최소검출한계

* 분석기관 : 영광민간환경감시센터



 

 

 

 

권영순(울산환경운동연합 간사)

탈핵신문 2016년 5월호 (제4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