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탈핵운동 필요

∥인터뷰  

조합원 100여 명 신고리 4호기 소송에 참여시킨 이 사람

한은영(44세)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상임공동대표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탈핵운동 필요

연대단체 외에 전문 탈핵단체도 있었으면



한은영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상임공동대표


신고리 핵발전소 운영허가 취소 공동소송단에 일주일 만에 732명이 참여했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소송을 하기로 정한 뒤 4월 23일을 기점으로 전국에 소송단 참여를 제안했다. 소송 준비팀의 많은 사람이 밤낮으로 움직인 결과 소송단 참여율이 높았다. 그 과정에 소송 참여자를 현장에서 조직한 한은영(44세)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상임공동대표를 만났다. 한은영 대표는 아이쿱생협 활동가(울산울주아이쿱생협 이사장)이며, 조합원 100여 명을 소송단에 참여시켰다. 


아이쿱생협 소송단 100여 명 참여

짧은 시간에 어떻게 모았나


단 한 번의 설명으로 소송단 참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지난 4월 초에 아이쿱생협 이사장 전국 워크샵에서 지역사안을 공유했다. 당시 소송을 하자고 결정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소송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었다.

4월 초니까 신고리 4호기가 시험가동에 들어간 상태였다. 나는 워크샵에서 설비와 시설의 안전성 문제, 인구밀집지역의 주민대피 불확실성 등을 설명했다. 설명 마무리하면서 핵발전소 인근지역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제발 관심을 가져달라고 했었다.


울산지역 아이쿱생협 활동가들이 25일 대전 위캔센터에서 열린 아이쿱포럼 행사장 앞에서 신고리 4호기 소송단을 모집하고 있다.


그러다가 4월 23일부터 소송인단 모집이 시작됐고, 소송에 참여하라는 내용을 소통방에 공유했다. 많은 사람들이 소송에 참여 의사를 밝히며 응원했다. 특히, 25일 전국 아이쿱생협 활동가와 대표자들이 모이는 300명 규모 행사장에서 소송단 신청을 받았는데 현장에서 80명 정도가 참여했다. 온라인에서 신청했던 20명 가량은 현장에서 위임장과 초본을 전해줬는데 감동이었다.


평소 아이쿱생협 내에서 어떤 탈핵활동을 하나


일상시기에 탈핵교육을 여러 번 진행했다. 마을모임 조합원들 대상 탈핵교육, 활동가 대상 탈핵교육 등을 수차례 했었다.

2012년부터 울산에서 아이쿱생협 대외협력 일을 맡았는데 그때부터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집행위원으로 활동했다. 공동행동 활동이 활발하면 참가단체인 우리 조합도 활동이 활발해지는 측면도 있다. 공동행동이 탈핵골목순례를 할 때 열심히 함께 했고,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싸움 때도 정말 열심히 싸웠다.

울산과 부산, 경주, 경남, 대구지역은 재난위원회 활동을 하는데 그 커리큘럼 짤 때 핵발전소 문제도 넣었다. 방사능재난으로부터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등을 교육하고 체험하기도 했는데 조합원들 반응이 좋았다. 재난 체험은 탈핵교육 안 해도 저절로 탈핵교육 효과도 있었던 것 같다.


탈핵운동에 있어서 부족하다고 여기는 것은?


훌륭한 분들이 많이 계셔서 말하기가 조심스럽다. 아쉬운 것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때는 전국이 떠들썩했는데, 신고리 4호기 운영허가에 대해서는 너무들 조용한 것 같다. 탈핵진영 내에서도 핵발전소 소재지역과 아닌 곳의 온도 차이는 있는 것 같다.

전국의 아이쿱생협 활동가들을 만나면, 그 분들이 탈핵에 동의 안해서가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몰라서 안 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타 지역에서는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있으면 제안해 달라는 의견이 많이 들어온다. 그렇지만 큰 이슈가 생기지 않으면 일상시기 함께 할 행동은 구체적으로 제시 못하고 있다. 세월호 리본처럼 탈핵스티커 나눔을 하는 등 작지만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있으면 좋겠다. 직접 목소리를 내지 않지만 동의하는 사람들을 힘으로 묶어내려면 탈핵진영의 고민과 실천이 더 필요해 보인다.


탈핵울산 상임대표로서 한마디


사안별로 많은 연대단체가 있지만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활동력이 높고 참가단체 실천도 매우 높은 편이라고 여긴다. 어느 연대단위가 이렇게 한 사안을 가지고 오랜 동안 꾸준히 연대활동을 하겠나. 이는 울산 특성상 단체마다 탈핵에 대한 공감도가 크고, 공동집행위원장 역할이나 탈핵학교 운영 등이 활동 동력이 되는 것 같다. 이번 소송만 봐도 단체들이 자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다른 연대단체와는 다른 모습이다.


탈핵활동 하면서 아쉬운 점은?


항상 뭘 하기는 했는데 결과물이 안 보인다. 이기는 싸움 하고 싶은데 공론화든 소송이든 이런 게 성과로 나타난 게 많지 않다. 이번 소송도 시간은 촉박하고, 들이는 시간 대비 효과에 대해 고민스럽기도 했다. 크게 보면 진일보한 거 같은데 상황이 생길 때마다 힘들다. 언제까지 해야하나 (웃음) 이런 생각도 들고. 울산에 공동행동 외에 탈핵단체가 따로 생기면 좋겠다. 전국적으로 봐도 탈핵 연대단체는 있어도 전문적으로 그 일만 하는 탈핵단체는 눈에 띄지 않는다.

교육도 매우 중요한데 성인과 아이, 학생 등 대상별로 교안을 만들어서 전면적인 탈핵교육도 진행할 수 있으면 좋겠다. 울주아이쿱생협 협동학교는 방할때마다 진행하는 학교다. 방사능에서 살아남기 교육을 진행했는데 아이와 어른 모두 공감도가 높았다.


한은영 대표는 아이쿱생협 활동가다. ⓒ용석록

용석록 기자

탈핵신문 2019년 5월호(6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