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에너지 공공성을 위해 싸워온 송유나 실장 별세

지난 517일 새벽,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송유나 실장이 별세했다. 향년 49. 재작년 여름, 지역 강연 중 소화불량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식도암 4기 판정을 받고 투병을 했으나 끝내 완쾌하지 못했다. 지식인연대 간사와 사회진보연대 사무처장을 역임한 그는 2000년 이후 에너지·철도··통신 등 국가 기간산업 사유화 저지 투쟁을 계속해왔다.


고 송유나 씨


IMF 사태 이후 국가 기간산업에 대한 민영화 열풍이 불었고, 노동조합과 시민사회의 반대 운동이 폭넓게 확산하였다. 특히 전력 산업은 2001년 한국전력발전 부문이 6개사로 분할되고, 이 중 1곳을 해외 매각할 예정이었다. 이에 20022월 철도·발전·가스 등 3개 노동조합의 동맹파업이 이뤄졌다. 3개 노동조합 동맹파업도 처음이지만, 전력 산업 파업은 국내에 전기가 들어온 이래 104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노동조합은 투쟁 경험이 전혀 없었다. 한전 시절 노동조합 징계 부당성과 노조 민주화를 외치며 김시자 지부장이 노조 중앙위원회에서 분신·사망한 것이 1996년의 일이었다. 그 후 몇 년이 흐르고 회사는 나뉘었지만, 투쟁은 쉽지 않았다. ‘활동가송유나는 노동조합 형님들을 지원하며 민영화 반대 투쟁을 이어갔다. 추도식에서 송주명 사회공공연구원 원장은 여기 있는 사람 중에 남녀노소 송유나한테 혼나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송유나 실장과 노동조합의 관계는 남달랐다.


파업 이후 송유나 실장은 에너지, 특히 전력과 가스 부문 공공성 확보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2005년 노동조합과 환경·시민사회단체들이 함께 만든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가 대표적이다. 발전 자회사와 가스공사, 한수원과 원자력 관련 공기업 등 에너지 관련 노동조합과 환경단체의 만남은 그 자체로서 사건이었다. 특히 부안 핵폐기장 투쟁이 끝나고 2005년 경주 방폐장 주민투표가 진행될 즈음이라 쉬운 일은 아니었다.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서로의 생각과 차이를 존중하고, 에너지 공공성 확보를 위해 연대하는 일은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2017년 석탄화력발전소 노동자들이 에너지전환 정책 지지 기자회견을 하거나 탈핵 운동가들과 핵발전소 노동자들이 원자력안전·규제 정책 개선방안을 마련한 것 등은 이 단체와 송유나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송유나는 열정적인 활동가이자 연구자이기도 했다. 그는 공공운수노조 사회공공연구원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수많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언제나 에너지 공공성에너지 민주주의가 있었다. 암 투병으로 요양을 권유하는 지인들의 권유에도 나는 마지막까지 일할 것이라며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추진했다. 병이 깊어져 아쉽게 마지막 연구 프로젝트를 마감하지는 못했지만, 에너지 공공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이어지게 될 것이다.


이헌석 편집위원

탈핵신문 2020년 6월(78호)





탈핵신문은 독자의 구독료와 후원금으로 운영합니다.

탈핵신문 구독과 후원 신청 https://nonukesnews.kr/1409